한국에서는 해외직구로 먼저 알려진 브랜드이며, 리히히, 르허허, 러허허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오고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브랜드 발음은 러허허입니다. 중국 선전에 위치한 러허허는 2010년 창업 이후로 줄곧 전자기기 배터리와 부품을 생산해오고 있는 기업입니다. 러허허 배터리는 VEKEN 고품질 셀을 사용하여 품질에서 탁월한 위치를 선도하고 있으며, 2019년...
READ MORE
청년들이 수리업 창업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포터블기기란 배터리를 내장한 이동형 소형 전자기기를 말한다. 전기코드를 사용하던 청소기는 배터리를 탑재하며 포터블 청소기로 발전하였다. 시계는 스마트워치 사용으로 전환중이고, 유선이어폰은 무선이어폰 사용으로 전환중이다. 모두가 배터리를 사용하는 포터블기기들이다. 이 현상들은 포터블기기의 증가와 함께 배터리 교체 시장이 같이 커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현...
READ MORE
폐포터블기기 처리는 아삭에서
핸드폰, 태블릿, 노트북, 보조배터리, 무선이어폰, 무선스피커, 로봇청소기, 전동공구, MP3, 전동완구, 전기면도기, 전동칫솔, 스마트워치, 디카 등... 사용한지 5년, 7년, 10년 된 포터블기기들 집장롱속에 몇 개씩 가지고 계시지요? 환경보호와 자원순환을 위해 폐포터블기기의 배터리를 분리하여 버리고 싶지만, 높은 난이도 때문에 망설이시는 분들이 많으...
READ MORE
"기후변화 스타트업" 모집에 구글의 초청을 받았습니다.
아삭이 북미에서 진행하는 "기후변화 스타트업" 모집에 구글의 초청을 받았습니다. 작년 12월에 구글 본사에 아삭의 시스템을 소개하였는데, 3개월이 지난 어제 3월3일에 갑자기 초청 메일이 온 것입니다. 생각지도 않은 타이밍에 온 초청이라 아삭팀에서 긴급히 제출 보고서를 다듬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미국과 캐나다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을 위주로 하는 것인데...
READ MORE
"탄소중립2050" 을 위한 정부정책제안3 - 생활속의...
A. 필요성 ------------------------------- EU 시장에서 모든 스마트폰, 노트북, 세탁기 및 진공 청소기의 수명을 5년 연장하면 연간 거의 1천만 톤의 배출량(CO2 환산)을 저감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매년 도로에서 500만 대의 자동차를 없애는 것과 같습니다. 출저: EEB(유럽환경국) - https://eeb.org/stand...
READ MORE
"탄소중립2050" 을 위한 정부정책제안2 - 데이터센...
네델란드에 위치한 구글의 100% 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 A. 문제 --------------------------------------- 한국의 대표 IT 기업들은 어떨까? 춘천에 있는 네이버 데이터센터. 축구장 7배 면적에 설치된 서버 12만대는 지난해 156기가와트시의 전력을 사용했습니다. 4인 가족 3만 6천 가구의 소비량이고, 온실가스 7만 1천 톤...
READ MORE
"탄소중립2050" 을 위한 정부정책제안1 - 한국형 ...
A. 문제 ---------------------------------- “한국의 대표 IT 기업들은 어떨까? 춘천에 있는 네이버 데이터센터. 축구장 7배 면적에 설치된 서버 12만대는 지난해 156기가와트시의 전력을 사용했습니다. 4인 가족 3만 6천 가구의 소비량이고, 온실가스 7만 1천 톤을 배출했습니다. 네이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계속해서 늘어나 매...
READ MORE
시장성이 죽어가는 소상공인 업종과 아삭플랫폼의 연계
A. 문제 1. 네비/블랙박스 설치점 1) 네비게이션 탑재율 증가 완성차의 네비게이션 탑재율이 증가하고 있다. 우려스러운 것은 고성능 AP를 탑재한 전기차와 자율주행전기차의 생산으로 인해, 네비게이션 탑재율은 더욱 속도를 낼 전망이다. * 테슬라 오너가 알려주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2개의 두뇌 MCU와 AP - 출저: https://bit.ly/3IarJb...
READ MORE
생활속의 포터블기기 자원순환 플랫폼 "아삭"
재활용이라는 단어는 너무 친숙해서 재활용만이 마치 답인 것처럼 생각하게 하지만, 재활용은 생각만큼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스마트폰을 파쇄하고 녹여서 재활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자원은 고가의 희토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은 손실됩니다. 그렇다고 재활용을 하지 말자는 의미는 아닙니다. 재활용 보다는 기기를 가능한 오래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환경보호입니다. 수리...
READ MORE
"수리할 권리" 운동 알아보기
2021년 12월 9일 강은미 국회의원은 소비자단체협의회와 "수리할 권리 법률안 발의" 기자회견을 가졌다. 자신의 제품을 직접 수리하여 수리비 절감과, 수리를 통한 자원낭비 방지와 탄소저감이 주된 내용이다. 그리고 법안을 통해 사설수리업체도 제도권 내에서 수리사업의 안정적 영위를 취하고 환경보전과 함께 소비자의 권익도 향상됨을 강조했다. 이러한 강은미 의원...
READ MORE
갈수록 늘어나는 포터블기기와 환경문제
포터블기기: 배터리 내장된 이동형 소형 전자기기 2030년 전기차 폐배터리 20조 시장을 전망하지만, 철저히 외면받는 배터리가 있습니다. 전기차 폐배터리는 경제적 가치가 높아 수많은 기업에서 재사용/재활용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나 포터블기기 폐배터리는 경제적 가치가 낮으며, 낮은 수거율로 일부 금추출 소기업을 제외하고는 사업화로 진행하는 기업은 거의 없...
READ MORE
우리의 미션
아삭의 미션은 지구와 생명체들이 회복할 수 있도록 "생활속의 자원순환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ASAC's mission is to build a "resource circulation platform in daily life" so that the earth and living things can recover. 수리할 권리, 포터블기기 자원순환, ...